국민의 더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플랫폼
피부건강
시험관내 및 세포실험법
제목 | B16 쥐 흑색종 세포에서 세포독성 측정(MTT assay) | ||
---|---|---|---|
구분 | 피부건강 | 링크 | 기초실험법 |
실험배경 | 피부의 색소침착은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자외선, 성장인자, 염증관련 mediator, DNA 손상, 활성산소 등)에 의해 발생되며, 이때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내 tyrosinase가 주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많은 선행연구들은 melanoma 세포를 활용하여 시험물질의 tryosinase 활성 저해 및 melanin 형성 억제 효과 등을 평가하고 있다. 이때, 시험물질이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확인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할 수 있다. |
||
실험재료 |
|
||
실험방법 | 1. 96-well plate에 200 μL씩 세포를 seeding한다.
2. 70~80% 정도 세포가 자라면 시료와 α-MSH를 농도별로 처리 후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3. 배양 후, MTT solution을 각 well당 20 μl씩 첨가 후 2시간 동안 다시 배양한다.
4. 배지를 모두 제거한 후 DMSO를 각 well당 200 μl씩 첨가 한다
5. 30분 동안 shaking시킨다.
6. Microplate leader를 사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
||
결과해석 | 살아있는 세포가 많을 수록 formazan 형성도 많아질 것이며, 그 값을 측정함으로써 세포생존율을 측정할 수 있다. 흡광도는 MTT가 세포에 의해 환원된 양을 나타내며 ,각 well에 존재하는 생존 세포 수와 비례한다. |
||
참고문헌 | 1. 이용수, B16 흑색종세포에서 로바스타틴에 의한 멜라닌 합성 촉진효과에 미치는 세포내 칼슘의 역할, 약학회지, 57(1) p24-31, 2013 |
제목 | B16 쥐 흑색종 세포에서 세포독성 측정(MTT assay) | 링크 | 기초실험법 |
---|---|---|---|
실험재료 |
|
||
실험방법 | 1. 배지 제조 배양용 배지 : DMEM배지 450 ml에 10% FBS 50 ml, 0.2% Antibiotic(Strep./Peni.) 1 ml을 각 농도에 맞게 첨가하여 잘 흔들어 준 후 사용한다. 2. 실험방법 1) B16/F10 흑색종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GIBCO BRL, Grand Island, NY, USA)를 이용하여 2.0×104 cells/mL로 96 well plate에 넣고 24시간 배양 한다. 2) 시료와 α-MSH 50 nM을 동시에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다. Tips: - s a-MSH는 멜라노사이트에 있는 melanocortin-1(MC-1) 수용체에 결합하여 cAMP 활성을 증가시켜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3) MTT 용액 50 μL를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4) 배양배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dimethylsulfoxide(DMSO; Sigma, St. Luois, MO, USA)를 200 uL를 가한다 5) 30분동한 shaking 하여 침전물을 완전히 용해시킨다. 6)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40 nm 흡광도를 측정한다. a-MSH는 멜라노사이트에 있는 melanocortin-1(MC-1) 수용체에 결합하여 cAMP 활성을 증가시켜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
||
실험결과 예 | ![]() 출처 : Wu Li et al., 2011 |
||
결과해석 | 시험물질 0.2 mg/mL 부터 세포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후 실험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
||
참고문헌 | 1. Wu Li, Lin Y, Antimelanogenic effect of c-phycocyanin through modulation of tyrosinase expression by upregulation of ERK and downregulation of p38 MAPK signaling pathways, J Biomed Sci, 18() p74, 2011 |
||
첨부파일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농생명로 245Tel.063.219.9409Fax.063.219.9226E-mail.hfplatform@kfri.re.kr
Copyright (C) 2016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