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더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플랫폼
인지능력개선
시험관내 및 세포실험법
제목 | Acetylcholinesterase 활성 측정 | ||
---|---|---|---|
구분 | 인지능력향상 | 링크 | 신경전달물질 및 시냅스 가소성 |
실험배경 | Acetylcholinesterase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를 아세틸과 콜린으로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는 아세틸콜린 함량이 정상인보다 낮은데, acetylcholinesterase 활성이 증가하면 아세틸콜린을 분해해 그 농도를 감소시키고, 일련의 반응을 통해 신경세포 손상을 초래하여 기억력 결핍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지능력개선 소재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
실험재료 |
|
||
실험방법 | 1. Cuvette에 0.1M phosphate buffer 50 μl를 넣는다. 2. acetylcholinesterase 용액 25 μl를 넣는다. 3. 시험물질 용액 5 μl를 넣고 잘 혼합한다. 4.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DTNB 용액 125 μl, acetylcholine iodide 25 μl를 첨가한다. 5. 41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
||
결과해석 | 시험물질에 의한 acetylcholinesterase 활성 감소는 아세틸콜린 분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
참고문헌 | 1. Talesa VN. Acetylcholinesterase in Alzheimer`s disease. Mech Ageing Dev 122: 1961-1969, 2001 2. Ellman GL, Courtney KD, Andres V Jr, Feather-Stone RM. A new and rapid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 7: 88-95, 1961 |
제목 | Acetylcholinesterase 활성 측정 | 링크 | 신경전달물질 및 시냅스 가소성 |
---|---|---|---|
실험재료 |
|
||
실험방법 | 1. Cuvette에 0.1 M phosphate buffer(pH 8.0) 50 μl를 넣는다. 2. acetylcholinesterase(2.36 Unit/ml) 용액 25 μl를 넣는다. 3. 농도별로 만든 시험물질 용액 5 μl를 넣고 잘 혼합한다. 4.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다. 5. 반응 종료 후, 3 mM DTNB 용액 125 μl과 0.075M acetylcholine iodide 25 μl를 첨가한다. Tips: - DTNB는 0.1 M phosphate buffer(pH 7.0)에 녹여서 stock를 만들어서 사용한다. - Positive control로 donepezil 등을 사용하여 비교한다. 6. 41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
||
실험결과 예 |
출처: Son HJ et al., 2016 |
||
결과해석 | 시험물질에 의한 acetylcholinesterase 활성이 감소하여, 인지기능개선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
참고문헌 | 1. 손현정, 엄민영, 김인호, 조승목, 한대석, 이창호. 해조류 추출물의 In Vitro 항치매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5(7):966-975, 2016 | ||
첨부파일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농생명로 245Tel.063.219.9409Fax.063.219.9226E-mail.hfplatform@kfri.re.kr
Copyright (C) 2016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