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더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플랫폼
혈중지질개선
혈중지질개선
혈중 콜레스테롤이 높으면 동맥경화를 비롯한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성이란 체내 콜레스테롤 수준을 적절한 범위로 조절하여 혈액과 조직(특히 혈관)에
콜레스테롤 축적이 일어나지 않게 함을 의미한다.
01고지혈증 판단기준
혈중 지질 | 정상(저위험군) | 경계역 | 고위험군 |
---|---|---|---|
총콜레스테롤 | 200 이하 | 200-239 | 240 이상 |
LDL-콜레스테롤 | 130 이하 | 130-159 | 160 이상 |
HDL-콜레스테롤 | 40 이상 | 35-40 | 35 이하 |
중성지방 | 200 이하 | 200-399 | 400 이상 |
02바이오마커
콜레스테롤 조절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별 측정 가능한 시험 연구유형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바이오마커 | 측정가능한 연구유형 | ||
---|---|---|---|---|
시험관내 | 동물시험 | 인체 적용시험 |
||
체지방 측정 | 체중 | ○ | ○ | |
체지방비율 | ○ | ○ | ||
콜레스테롤 흡수 | 소장에서의 콜레스테롤 흡수율 | ○ | ||
지질 및 콜레스테롤량 | 중성지방량 | ○ | ○ | ○ |
인지질량 | ○ | ○ | ||
총 콜레스테롤량 | ○ | ○ | ○ | |
HDL-콜레스테롤 | ○ | ○ | ||
LDL-콜레스테롤 | ○ | ○ | ||
콜레스테롤 합성조절 | 콜레스테롤 합성능력 | ○ | ○ | |
콜레스테롤 에스테르화 | ○ | |||
HMG-CoA reductase 활성 | ○ | ○ | ||
HMG-CoA reductase 유전자 발현 | ○ | ○ | ||
ACAT 활성 | ○ | ○ | ||
ACAT 유전자 발현 | ○ | ○ | ||
콜레스테롤 배설 | Cholesterol 7α-hydroxylase 활성 | ○ | ○ | |
Cholesterol 7α-hydroxylase 유전자 발현 | ○ | ○ | ||
Sterol 12α-hydroxylase(CY8B1) 유전자 발현 | ○ | ○ | ||
변내 지질함량 | ○ | |||
변내 중성스테롤량 | ○ | |||
변내 담즙산량 | ○ | |||
지질 및 콜레스테롤 대사 | LDL-Receptor 유전자 발현 | ○ | ○ | |
SREBP 유전자 발현 | ○ | ○ | ||
FAS(fatty acid synthase) 유전자 발현 | ○ | ○ | ||
LPL 유전자 발현 | ○ | |||
PPARα 유전자 발현 | ○ | ○ | ||
LXR 유전자 발현 | ○ | ○ | ||
FXR 유전자 발현 | ○ | ○ | ||
SR-B1 유전자 발현 | ○ | ○ | ||
Cholesterol 7α-hydroxylase (CYPα)활성 | ○ | ○ | ||
혈장 LACT 활성 | ○ | |||
혈장 LPL 활성 | ○ | |||
혈장 CETP 활성 | ○ | |||
간내 지방함량 | ○ | |||
간의 형태학적 분석 | ○ | |||
Apoprotein A-1 양 | ○ | ○ | ||
Apoprotein B 양 | ○ | ○ | ||
Lipoprotein (a) 양 | ○ | ○ | ||
염증관련 | CRP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