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더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플랫폼
혈당저하
혈당저하
간에서의 비정상적인 당대사로 포도당 배출의 양이 증가되고 말초조직에서의 소비가 감소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아질 수 있고 이는 인슐린저항성을 포함한 당뇨병 발병의 주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사과정 조절을 통해 "혈당조절" 기능성을 설명할 수 있다.
01당뇨병의 진단
구분 | WHO 대한당뇨병학회(KDA) 미국당뇨병학회(ADA) |
|
---|---|---|
당뇨 (Diabetes) | ||
|
|
|
내당능장애 (Impaired Glucose Tolerance) | ||
|
|
02바이오마커
혈당 조절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별 측정 가능한 시험 연구유형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바이오마커 | 측정가능한 연구유형 | |||
---|---|---|---|---|---|
시험관내 | 동물시험 | 인체 적용시험 |
|||
혈당 수준 |
포도당 (glucose)
|
○ | ○ | ||
Glycated hemoglobin | ○ | ○ | |||
베타세포기능 | 세포생존 | ○ | ○ | ||
세포 및 조직 인슐린 함유도 | ○ | ○ | |||
세포 및 조직 인슐린 합성능 | ○ | ○ | |||
호르몬 및 관련단백질 | 아디포넥틴(adiponectin) | ○ | ○ | ○ | |
인슐린 (insulin) | ○ | ○ | ○ | ||
GLP-1 | ○ | ○ | ○ | ||
DPP4 | ○ | ○ | ○ | ||
GLP-1 receptor | ○ | ○ | |||
장내 포도당 흡수 | Glut2 | ○ | ○ | ||
SGLT1 | ○ | ○ | |||
Alpha-glucosidase | ○ | ○ | |||
Alpha-amylase | ○ | ○ | |||
Alpha-glucoamylase | ○ | ○ | |||
당대사 | PEPCK | ○ | ○ | ||
Glucose-6-phosphatase | ○ | ○ | |||
Glycogen synthase | ○ | ○ | |||
Glucokinase | ○ | ○ | |||
Glut4 | ○ | ○ | |||
인슐린 신호전달 | AKT | ○ | ○ | ||
IRS1/2 | ○ | ○ | |||
PI3K | ○ | ○ | |||
IR | ○ | ○ | |||
PTP1B | ○ | ○ | |||
Gsk3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