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더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플랫폼
체지방감소
체지방감소
체지방량은 식이로부터 섭취된 지방의 흡수를 억제시키거나, 축적된 체지방의 산화를 촉진시키거나,
지방합성의 억제, 식욕조절 등을 통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체지방 감소" 기능성을 설명할 수 있다.
01비만의 진단
WHO | 대한비만학회 | ||
---|---|---|---|
체질량지수 (BMI) | |||
저체중 | 18.5 이하 | 저체중 | 18.5 미만 |
정상 | 18.5 ~ 24.9 | 정상 | 18.5 ~ 22.9 |
과체중 | 25 이상 | 과체중 | 23.0 ~ 24.9 |
비만-1단계 | 30 ~ 34.9 | 비만-1단계 | 25.0 ~ 29.9 |
비만-2단계 | 35 ~ 39.9 | 비만-2단계 | 30 이상 |
비만-3단계 | 40이상 |
02바이오마커
체지방 감소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별 측정 가능한 시험 연구유형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바이오마커 | 측정가능한 연구유형 | |||
---|---|---|---|---|---|
시험관내 | 동물시험 | 인체 적용시험 |
|||
체지방 수준 | 체중 | ○ | ○ | ||
체질량지수(BMI) | ○ | ||||
허리둘레 | ○ | ||||
허리-엉덩이둘레 비율 | ○ | ||||
체지방량 | ○ | ○ | |||
혈청 지질 수준 및 관련호르몬 |
체지방분포 | ○ | ○ | ||
총콜레스테롤 | ○ | ○ | |||
중성지방 | ○ | ○ | |||
HDL-콜레스테롤 | ○ | ○ | |||
유리지방산 | ○ | ○ | |||
포도당 | ○ | ○ | |||
렙틴(leptin) | ○ | ○ | |||
아디포넥틴(adiponectin) | ○ | ○ | |||
인슐린 (insulin) | ○ | ○ | |||
갑상선 호르몬 | ○ | ○ | |||
지방 흡수 | 변 지질 함량 | ○ | ○ | ||
Pancreatic lipase 활성 | ○ | ○ | |||
Triglyceride absorption rate | ○ | ||||
Chylomicron-triglyceride | ○ | ||||
Acylglycerol metabolites | ○ | ||||
체지방 축적 | 지방축적 | Lipoprotein liapse (LPL) | ○ | ○ | |
CD 36 | ○ | ○ | |||
AP2 | ○ | ○ | |||
지방합성 |
관련 효소 (활성,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
|
○ | ○ | ||
Malonyl CoA | ○ | ○ | |||
TCA cycle metabolites | ○ | ○ | |||
Lipogenesis rate | ○ | ○ | |||
지방세포 | Adipocyte differenciation | ○ | |||
Adipocyte 크기/수 | ○ | ○ | |||
Adipocyte lipid deposition | ○ | ○ | |||
세포사멸 | ○ | ||||
에너지 소비 | 지방분해 | Glycerol release | ○ | ○ | ○ |
Free fatty acid | ○ | ○ | ○ | ||
cAMP 농도K | ○ | ○ | |||
관련 효소 (활성,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
|
○ | ○ | |||
AMPK | ○ | ○ | |||
Fat oxidation rate | ○ | ○ | |||
Fat metabolites | ○ | ○ | |||
열생성 | Uncoupling protein(UCP) | ○ | ○ | ||
에너지 소비량 | Energy expenditure | ○ | ○ | ||
Respiratory quotient | ○ | ○ | |||
Basal metabolic rate | ○ | ○ | |||
Rest metabolic rate | ○ | ○ | |||
Diet-induced thermogenesis | ○ | ○ | |||
에너지 대사 조절 | 분비호르몬 | Leptin | ○ | ○ | ○ |
Adiponectin | ○ | ○ | ○ | ||
전사인자 | PPARs | ○ | ○ | ||
SREBP | ○ | ○ | |||
C/EBPs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