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더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플랫폼
인지능력개선
01인지기능이란?
인지(cognition)란, 문제를 인식하고 추리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또는 과정을 생각해 내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를 해결하게 위해 과거의 체험 등을 응용하게 되는데, 이때 과거의 체험을 기억해 낼 수 있는 기억력(memory)이 필요하게 된다. 사람의 뇌세포는 나이가 들수록 손상되고 기능이 퇴화하기 시작하는데, 정상적인 두뇌활동에 필요한 영양소를 원활하게 공급해 주고 신경세포의 손상을 일으키는 요인을 줄여준다면 뇌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인지기능 결손은 신경세포사멸, 염증, 신경전달물질, 시냅스가소성, 산화스트레스, β-amyloid 등 다양한 원인이 제시되고 있으며, 표준화된 신경인지기능검사, 뇌영상 등을 통하여 진단할 수 있다.
02바이오마커
"인지능력개선"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별 측정 가능한 시험 연구유형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바이오마커 | 측정가능한 연구유형 | ||
---|---|---|---|---|
실험관내 | 동물시험 | 인체적용 시험 |
||
인지행동학적 지표 | 수미로(Morris water maze) | ○ | ||
수동회피시험(Passive avoidance) | ○ | |||
Y-미로(Y-maze) | ○ | |||
물체인식시험(Novel object recognition test) | ○ | |||
신경세포사멸 | 세포생존율 | ○ | ||
Caspase, cleaved caspase(-3, -9) 단백질 발현 측정 | ○ | |||
PARP, cleaved PARP 단백질 발현 측정 | ○ | |||
Bax, Bcl-2 단백질 발현 측정 | ○ | |||
신경염증 | NF-kB 단백질 발현량 측정 | ○ | ||
COX-2 단백질 발현 측정 | ○ | |||
MAPKs (ERK, JNK, p38MAPK) 단백질 발현 측정 | ○ | |||
신경전달물질 및 시냅스 가소성 |
Acetylcholine 함량 측정 | ○ | ||
Acetylcholinesterase 활성 측정 | ○ | ○ | ||
Choline transferase 활성 측정 | ○ | |||
BDNF 단백질 발현 측정 | ○ | ○ | ||
TrkB 단백질 발현 측정 | ○ | |||
CREB/p-CREB 단백질 발현 측정 | ○ | ○ | ||
ERK/p-ERK 단백질 발현 측정 | ○ | |||
β-amyloid 형성 및 축적 억제 |
β-amyloid 함량 측정 | ○ | ○ | |
β-secretase 활성 측정 | ○ | ○ | ||
Amyloid precursor protein 단백질 발현 측정 | ○ | |||
BACE1 단백질 발현 측정 | ○ | |||
신경인지기능 검사 |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 ○ | ||
간이정신상태검사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 ○ | |||
알츠하이머병 평가 척도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Scale-Cognition) |
○ | |||
스트룹 검사(Stroop tasks) | ○ | |||
몬트리올 인지평가(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 ○ | |||
전산화 캠브리지 신경인지 검사 (Cambridge Neuropsychological Test Automated Battery) |
○ | |||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
○ | |||
뇌영상 | 뇌자기공명분광영상(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 MRS) | ○ | ||
fMRI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