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더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플랫폼
Phytochemicals DB
식품의 플라보노이드(USDA Database)
식품 내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의 종류 및 함량에 대한 과학계의 최근 관심은 특정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보유한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 - 예를 들어 항산화, 항균, 항암 또는 심혈관 보고 효과 등 - 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니즈에 따라 식품 내 플라보노이드 함량 DB가 개발되었다.
식품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자세한 분석 데이터는Nutrient Data Laboratory's(NDL) WebM에서 확인할 수 있다.
USDA Database는 2003년 3월, 225종 식품의 flavonoid 함량을 분석·조사한 자료 『USDA Database for the Flavonoid Content of Selected Foods, Release 1』을 발표한 이래로 계속하여 database 업그레이드를 해왔고, 506종 식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실린, Release 3.1(2013)을 발간하였다.
01Release History (발간 이력, 발간 연혁)
02Subclasses of flavonoids and selected compounds
USDA database에는 아래 5개의 subclasses에 속하는 506종 식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28종의 우세한 단량체 식이 플라보노이드 값이 포함되어 있으며, 식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고한 문헌과 FCL에서 분석을 완료한 500여 종의 과일, 야채 및 견과류의 플라보노이드 분석 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적 근거 문헌은 여러 학술 database에서 핵심어로 개별 플라보노이드명, 식물분류학적 학명(taxonomic name, 속(genus)및 종(species)) 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03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절차
04Data evaluation (데이터 평가)
각 화합물에 대한 데이터는 Nutrient Data Laboratory's(NDL)에서 개발된 Nutrient Databank System 절차에 따라 아래의 다섯 가지를 범주로 하여 데이터의 질을 평가하였다.
05데이터 소스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플라보노이드 함량 관련 전체 데이터는 “References” 에 제시한 문헌을 참조하여 제시하였다. 첨부된 참고문헌 부분에서 출판된 논문 리스트와 미출판 데이터의 소스도 제공하고 있다.
06Table 표시
Table에는 500개의 식품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여주고 있다. 각 항목에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항목 | 설명 |
---|---|
NBD No. | USDA Nutrient Data Bank number¹ |
Description | 식품설명 |
Subclass | 플라보노이드 subclass |
Flavonoid | 플라보노이드 명 |
Mean | 평균값 |
Standard Error | 표준오차 (mg/100g 가식부위) |
N | 시료수 |
Min | 최소값 |
Max | 최대값 |
CC | Confidence Code² (신뢰코드) |
Sources of data | 데이터 소스 |
1) The NDB number is a five digit numerical code used in the USDA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s. 2) The Confidence code는 A, B, C, D로 표기를 하였으며, A의 의미는 best. |
07만든 기관
Nutrient Data Laboratory, Beltsville Human Nutrition Research Center,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