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더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플랫폼
기능/지표 성분기능/지표 성분 입니다
기능/지표 성분 분석법
구분 | 아미노산 및 단백질류 | 성분명 | L_카르니틴 |
---|---|---|---|
개요 | 본 시험법은 시료 중 L-카르니틴을 증류수에 녹여 초음파 추출하고 Sep-pak카트리지로 처리한 것을 옥타데실실릴화한 칼럼을 통하여 L-카르니틴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자외부흡광광도검출기를 이용하여 L-카르니틴의 최대 흡수 파장인 227nm에서 검출하여 정량한다.
![]() |
||
장비 및 재료 | [ 실험실 장비 및 소모품 ]
용매용 일회용 실린지 여과용 멤브레인 필터 및 디스크형 멤브레인 필터 HPLC용 유리병 부피플라스크(100mL, 50mL) 뷰흐너 깔대기(Buchner funnel) 초음파진탕기(Sonicator) 여과지(Filter paper) Sep-pak C18 카트리지 [ 분석장비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
자외부흡광광도검출기 칼럼오븐 Capcellpak C18(4.6mm i.d. x 250mm, octadecyl silica) 또는 이와 동등한 것 [ 분석장비의 준비 ]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과 0.4% heptafluorobutyric acid 를 10 : 90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당 1mL씩 흘려 기기와 칼럼을 안정화 시킨다. |
||
표준물질 및 일반시약 |
[ 표준물질 ] 1. L_카르니틴(L-carnitine) ; - (−)-(R)-3-Hydroxy-4-(trimethylammonio)butyrate Vitamin B
- 분자식 : (CH3)3N+CH2CH(OH)CH2COO-, 분자량 : 161.20, CAS No. : 541-15-1
![]() [ 일반시약 ] 1. 메탄올(Methanol, HPLC grade) 2.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HPLC grade) 3. 증류수(Distiled water) 4. 헵타플루오로뷰티린산(heptafluorobutyric acid, Extra grade) |
||
방법 | [ 표준용액 제조 ]
(단, 시험용액 중 분석하고자 하는 농도가 검량선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표준용액의 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한다.) 1. L-카르니틴 표준물질 1.2g을 정밀히 측정한다. 2. 정밀히 측정한 표준물질을 100mL 부피플라스크에 넣는다. 3. 증류수를 표선까지 넣는다. 4. [2]용액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6.0, 3.0, 1.5mg/mL로 희석한다. [ 시험용액 제조 ] 1. 시료 약 0.5~1.0g을 정밀히 측정한다. 2. 정밀히 측정한 시료를 50mL 부피플라스크에 넣는다. 3. 여기에 약 30mL의 증류수를 넣어 초음파로 30분간 진탕한다. 4. 증류수를 이용하여 표선까지 넣은 후 여과지(여과가 잘 되지 않을 경우 뷰흐너깔대기(Buchner funnel)와 감압펌프를 이용하여 여과한다.)로 거른다. 5. 미리 활성화시킨(메탄올 10mL, 증류수 10mL) Sep-pak C18카트리지에2mL/분의 속도로 처리한다. 6. [5]에서 처리한 액을 0.45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다. |
||
결과분석 및 계산 |
[ 계산 ]
- L-카르니틴 함량(mg/g) = A x (B/C) x D x (1/100) x (1/1000)
A : 시험용액 중 L-카르니틴의 농도(ug/mL) B : 시험용액 전량(mL) C : 시료 채취량(g) D : 표준품 순도(%) |
||
참고문헌 |
1. -, United States Pharmacopoeial Convention, Unite States Pharmacopoeia, 23rd, -(-) p877, 1994 2. Lv YF, Hu X, Bi KS, Determination of mildronate in human plasma and urine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B Analyt Technol Biomed Life Sci., 852(1-2) p35-39, 2007 3. Kakou A, Megoulas NC, Koupparis MA, Determination of L-carnitine in food supplement formulations using ion-pair chromatography with indirect conductimetric deyection, J Chromatogr A., 1069(2) p209-215, 2005 |